오늘 말씀드릴 주제는 어린 아이들의 변비입니다.
변비라고 하면 대변을 보기 힘든 상태를 쉽게 떠올리실거라 생각합니다. 어떤 상태를 변비라 부르는지,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해 차례로 말씀드리겠습니다.
[목차]
1. 정상적인 배변활동
가. 영아
나. 유아
다. 소아
2. 변비의 진단기준
3. 고려할 사항
가. 영아
나. 사회정신적 및 환경적 요인
4. 기능성 변비의 치료
가. 영아
나. 소아
1. 정상적인 배변활동
가. 영아 (만 1세 미만)
만삭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생후 36시간 이내에 첫 대변을 보게 됩니다. 아이를 키우고 계신 분들이라면 대부분의 신생아들이 태어난 지 하루만에 태변이라 부르는 대변을 봐야 한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수 있는데 같은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후 1주일간은 하루에 평균 4회 가량의 대변을 보게 되는데 모유 수유를 하는지, 분유를 먹는지, 얼마나 먹는지 등에 따라서 횟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들은 어머니의 수유량이 처음엔 적기 때문에 대변을 하루에 한 번 정도 보지만 수유량이 늘면서 대변 횟수도 같이 늘게 됩니다.
생후 3개월까지도 수유 형태에 따라 대변 횟수가 달라지는데,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들은 보통 하루에 3회 가량의 대변을 봅니다. 분유를 먹는 아기들은 하루에 2회 정도 대변을 보는데 분유의 종류에 따라서 딱딱한 변을 적은 횟수로 보는지, 무른 변을 더 자주 보는지가 결정됩니다.
나. 유아 (만 2~4세 정도)
이 시기의 아이들은 하루에 2회 미만의 대변을 보게 됩니다.
다. 소아 (만 4세 이후)
아이들이 자라면서 하루에 1회~2회 정도로 대변을 보게 됩니다.
아이들이 크면서 대변 횟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음식물이 장을 통과하는 속도가 점차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생후 1~3개월 정도의 아이들은 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8.5시간 정도이지만 3세 이후에는 26시간 정도로 늘어납니다.
2. 변비의 진단기준
정상적인 배변활동의 횟수에 못미친다고 해서 무조건 변비라 부르는 것은 아닙니다. 만 1세부터 학교에 들어가기 전의 나이 정도까지의 아이들에게 변비가 있다면 거의 대부분이 기능성 변비에 해당합니다.
기능성 변비라 진단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진단 기준을 만족해야 합니다.
Rome IV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functional constipation in children 라고 검색하시면 진단 기준에 대한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 4세 미만의 소아
최소 1개월 이상의 기간동안 아래 중 최소 2가지 이상을 만족한다.
- 1주간 2회 이하의 배변횟수
- 장에 대변이 과도하게 찼던 적이 있었던 경우
- 힘든 배변, 고통을 동반한 배변활동의 경험이 있는 경우
- 대변 덩이가 너무 컸던 경우
- 대변 덩이가 직장(Rectum)에 차 있는 경우
만일 배변 훈련을 하고 있는 아이들이라면 아래의 추가적인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 배변 훈련을 성공한 후 주 1회 이상의 유분증(변 지림, incontinence)
- 변기를 막을 만큼 직경이 큰 대변을 본 적 있는 경우
나. 4세 이상의 소아 및 청소년
최소 1개월 이상의 기간동안 주당 1회 이상 아래의 조건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한다.
- 1주간 2회 이하의 배변횟수
- 1주에 1회 이상의 유분증(변 지림, incontinence)을 경험함
- 변을 일부러 참거나 그러한 자세를 보이는 경우(다리를 꼬며 힘을 주는 등)
- 힘든 배변, 고통을 동반한 배변활동의 경험이 있는 경우
- 대변 덩이가 직장(Rectum)에 차 있는 경우
- 변기를 막을 만큼 직경이 큰 대변을 본 적 있는 경우
위의 증상들이 다른 의학적 상태로는 설명되지 않을 때 진단한다.
위 그림은 기능성 변비가 생기는 과정을 설명한 것입니다.
1) 대변을 힘들게, 고통스럽게 보낸 경험을 한 아이들은
2) 대변을 보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고
3) 의도적으로 대변을 참게 되어
4) 다시 딱딱한 변을 보며 고통스러운 배변 경험을 반복하게 됩니다.
95%의 변비가 위의 기능적 변비에 해당하지만 나머지 5%는 기질적 원인으로 인해 변비가 발생합니다.
기질적 원인으로는 치열(항문 열상), 선천적 질환, 분유(우유)에 대해 과민증이 있는 경우, 내과적 질환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고려할 사항
가. 영아 (만 1세 미만)
영아가 변을 볼 때 힘을 주는 것이 무조건 변비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건강하고 부드러운 변이 나온다면 배변 장애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배변 장애란 최소 10분간 힘을 주면서 울다가 부드러운 변을 보기도, 못 보기도 하는 질환입니다. 배변 장애는 골반 근육이나 복부의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 해서 발생한 상황일 수 있으며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비가 의심된다면 기질적 원인이 있는 경우가 아닌지 주의해야 하는데, 태변(생후 첫 배변)의 배출이 지연되는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나. 사회정신적 및 환경적 요인
다음과 같은 상황은 기능성 변비를 의심할 수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변비의 시작이 식습관의 변화, 배변 훈련, 고통스러운 배변활동,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경우
- 배변을 의도적으로 참는 경우
배변을 의도적으로 참는 이유로는 처음 학교를 간 경우, 여행, 가족으로부터의 스트레스, 부적절한 배변교육, 우울함 등이 있습니다.
- 하제(변비약)에 반응이 좋은 경우
4. 기능성 변비의 치료
가. 영아(만 1세 미만)
하제(변비약)을 적절히 이용하게 됩니다. 의사의 처방이 필요하므로 진료는 필수적입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방법은 권고되지 않는 방법들으니 사용하면 안됩니다.
- 미네랄 오일: 영아에게는 미네랄 오일이 기도로 잘못 넘어가 폐렴을 유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 관장: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이 있어서 권장되지 않으나 의료인의 감독 하에 생리 식염수를 이용한 관장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처방받지 않은 변비약을 가루내어 임의로 복용시키는 행위: 따로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위험한 행위입니다.
나. 소아
기능성 변비는 많은 양의 대변에 대장이 적응해서 많이 늘어난 상태임에도 밀어내려는 반응이 없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대장을 비워내고 원래의 기능을 되찾게 해주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1) 직장에 대변 덩이가 커다랗게 자리잡고 있는 경우에 직장 비우기(Disimpaction)를 시행합니다. 관장이나 경구약 등을 활용합니다.
2) 배변 활동을 규칙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하제(변비약)를 함께 사용합니다.
3) 섬유질과 수분이 많은 음식으로 식습관을 변경하여 변을 부드럽게 만들어줍니다.
4) 점차 증상이 호전되면 하제(변비약)를 줄여나갑니다.
위의 과정 중 2) 에서 약을 복용하는 아이가 아직 변기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와 변기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서 배변 활동 교정의 과정이 조금 다릅니다.
아직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아이는 하제(변비약)에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최소 2~4주간 기다려줍니다. 변기를 사용하게 하려는 생각에 훈련을 일찍 시작하면 배변 활동을 싫어지게 만들어 오히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변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변기를 사용하는 훈련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변기를 이미 사용하는 아이들은 아래와 같이 배변을 규칙적으로 할 수 있도록 배변 훈련을 통해 도와주게 됩니다.
- 식후 5~10분간 변기에 앉아있도록 합니다. 하루에 세 번 식사를 하므로 3회 시행하면 좋겠지만 아침, 저녁으로 2회만 시행해도 괜찮습니다.
- 변기에 앉는 시각과 앉아있는 시간은 매일 동일해야 합니다.
- 휴가 등의 일정이 있더라도 매일 동일한 훈련을 진행해야 합니다.
- 아이가 배변 훈련에 잘 참여하게 하려면 혼내거나 비판하는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보다는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를 이용해야 합니다.
긍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는 아이가 변기에서 대변을 보는 목표를 위해 노력을 한 경우(잠시 변기에 앉기 등) 아이에게 맞는 보상을 주는 방법입니다. 아이가 잘 노력했다면 작은 군것질거리(사탕, 젤리 등)나 스티커를 보상으로 주거나 변기에 앉아있는 동안 좋아하는 책 읽기, 노래 부르기, 변기에 앉을때만 가지고 노는 장난감 사용하기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문헌: Uptodate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법 (37) | 2024.03.16 |
---|---|
소아의 배변훈련 (Toilet training) (91) | 2024.03.15 |
급성 담낭염의 치료 (Treatment of acute cholecystitis) (14) | 2024.03.13 |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8) | 2024.03.13 |
혈관운동성 비염, 어떻게 관리할까? (5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