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의학/피부과20

여드름 (Acne) (2): 응괴여드름, 찰상여드름 1. 응괴여드름 (Acne conglobata)응괴여드름은 보기 드문 중증형의 여드름으로, 대부분 지성 피부를 가진 성인 (18세~30세) 남성에게 발생하여 40~50세가지 지속됩니다. 드물게 여성에게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인종적으로 백인이 동양인과 흑인에 비해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됩니다. 발생 부위는 주로 체간 (몸통)으로 특히 등이 심하고 가슴, 어깨, 목 뒷부분에 발생하며 둔부, 팔, 대퇴부에도 생길 수 있고 안면부는 덜 심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심한 보통여드름 (Acne vulgaris)의 화농성 변이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응괴여드름은 다수의 서로 융합된 개방면포, 서로 연결된 누관 (fistula)을 갖는 큰 농양, 점액성 체액을 함유하고 있는 낭종,.. 2024. 5. 9.
여드름 (Acne) (1): 보통여드름 1. 서론여드름은 피지샘 (sebaceous gland) 질환이라서, 여드름 환자의 모공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모공 내에 피지덩어리들이 뭉쳐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과도하게 분비된 피지들이 모공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정체되어 발생하는 질환임을 알 수 있습니다. 피지를 생성하는 피지샘은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존재하는데 특히 두피, 얼굴, 목, 등, 가슴에 많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피지샘은 대부분 모낭 (털집)과 연결되어 있고 작은 관을 통해서 피지를 분비하며 안드로겐과 같은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피지를 분비합니다. 피지는 피부 표면에서 지질층을 형성하여 피부의 윤기, 수분 증발 억제, pH 유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 살균작용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 2024. 5. 7.
저색소침착증 (Hypopigmentation) (2) 지난 글에 이어 저색소침착증에 대한 추가적인 포스팅을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6. 이토 멜라닌저하증 (Hypomelanosis of Ito)7. 특발성적상저색소침착증, 특발물방울모양멜라닌저하증 (Idiopathic guttate hypomelanosis)8. 염증 후 저색소침착 (Postinflammatory hypopigmentation)9. 화학물질에 의한 백색피부증 (Chemical leukoderma)10. 백색비강진 (백색잔비늘증, Pityriasis alba)11. 어루러기 (Pityriasis versicolor) 6. 이토 멜라닌저하증 (Hypomelanosis of Ito)이토 멜라닌저하증은 대부분 출생시부터 양측성, 비대칭성의 색소침착저하반이 몸통과 팔다리에 발생하고 신경학적, .. 2024. 4. 25.
저색소침착증 (Hypopigmentation) (1) 피부색은 멜라닌, 헤모글로빈 및 카로틴의 양, 피부두께, 반사각도, 피부수화도, 혈류량, 혈중 산소량, 세포간 접착상태 등에 의해 결정되며 이 중에서도 특히 멜라닌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주변의 피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멜라닌이 부족할 때 색소침착저하증이 생기며, 멜라닌이 완전히 없을 때엔 탈색소증을 일으킵니다. 멜라닌 세포가 선천적으로 없는 경우, 후천적으로 파괴되는 경우, 멜라닌세포는 정상적으로 존재하지만 멜라닌을 합성할 수 없거나 적절하게 멜라닌을 각질형성세포로 전달할 수 없는 경우 등의 상황에서 이러한 일들이 나타날 수 있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색소질환에 대해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목차] 1. 백색증 (알비니즘, 알비노, Albinism) 2. 부분백색증 (Piebaldism) 3. 백.. 2024. 4. 24.
진피 및 피하지방 종양 (Tumors of the dermis and subcutaneous fat) [목차] 1. 연성섬유종 (물렁섬유종, Soft fibroma) 2. 비대흉터와 켈로이드 (Hypertrophic sacr and Keloid) 3. 모세혈관기형 (Capillary malformation) 1) 연어반 (Salmon patch, Stork bite, Angel's kiss) 2) 포도주색 반점 (Portwine stain) or 화염상모반 (Nevus flammeus) 4. 유아혈관종 (Hemangioma of infancy) 5. 정맥기형 (Venous malformation) 6. 노인혈관종 (Senile angioma) 7. 거미 혈관종 (Spider angioma) 8. 화농육아종 (Granuloma pyogenicum) 9. 정맥호 (Venous lake) 10. 신경섬유종 (.. 2024. 4. 23.
피부 부속기 종양 (Skin adnexal tumors) (2) 지난 포스팅에 이어 피부 부속기 종양에 대한 글을 이어가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431 피부 부속기 종양 (Skin adnexal tumors) (1)1. 털분화종양털분화종양은 우리나라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에 1.7배 많으며, 대부분 40대 이전에 발병하고 평균 26세에 발병하는 편입니다. 호발부위는 얼굴, 팔, 목의 순이며 대부분 한 개의 병변drfrog.tistory.com 2. 피지샘 종양1) 피지샘모반 (Nevus sebaceous)피지샘모반은 주로 출생시 머리나 얼굴에 발생하는 과오종 (hamartoma)으로, 다양한 표피 및 피부부속기로 분화할 수 있으며 30세 이전, 특히 10세 전후에 호발하는 질환입니다. 편평하고 털이 없는 피부색 또는 황색의 판상.. 2024. 4.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