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학160 타이레놀과 이부프로펜, 해열진통제 사용 가이드 해열진통제는 일상적인 통증 관리와 열을 낮추는 데 널리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대표적으로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이 있습니다. 이 두 약물은 통증과 열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작용 방식과 주의해야 할 사항이 다릅니다.[목차] 1.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 2. 이부프로펜 (NSAID) 3. 복용 시 주의사항 4. 반드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5. 교차복용 6. 결론1. 타이레놀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은 중앙신경계에서 작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체온 조절 중추에 영향을 미쳐 열을 낮춥니다. 타이레놀은 위장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 소화기 문제가 있는 사람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량 복용 시 간 손.. 2024. 2. 29. 지연성 근육통(DOMS)이란?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연성 근육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목차] 1. 지연성 근육통의 정의 2. 지연성 근육통의 원인 3. 지연성 근육통의 증상 4. 지연성 근육통의 관리 및 치료1. 정의지연성 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은 격렬한 운동 후에 발생하는 근육통으로, 특히 새로운 운동을 시작하거나 평소보다 더 강도 높은 운동을 했을 때 나타납니다. 이 근육통은 운동 직후가 아니라 보통 운동을 한 후 24~72시간 사이에 가장 강하게 느껴지며, 근육이 회복되면서 점차 사라집니다. 2. 원인DOMS는 근육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발생합니다. 특히, 근육을 수축시키는 것이 아닌, 근육이 저항을 받으며 길어지는 이심.. 2024. 2. 29. 선크림,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햇빛은 우리에게 따뜻함과 비타민 D를 제공하지만, 자외선의 위험도 함께 안고 있습니다. 따라서 피부암, 조기 노화, 일광 화상 등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선크림 사용은 필수적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선크림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1. 충분한 양을 사용하세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필요한 양보다 적게 선크림을 사용합니다. 얼굴과 목에는 티스푼 반 정도, 전신에는 소주 한 잔의 양이 필요합니다. 생각보다 많이 발라야 하죠? 선크림은 피부에 충분히 도포되어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습니다. 2. SPF 선택에 신경쓰세요. SPF(Sun Protection Factor)는 자외선(UVB 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일상적인 활동에는 SPF 30 이상을, 야외 활동 시에.. 2024. 2. 27. 아이들의 낮잠, 몇 살까지 자야할까? 아이들의 낮잠은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낮잠은 아이들이 필요로 하는 휴식을 제공하며 정신적, 육체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언제까지 낮잠을 자야하고 어느 나이에 낮잠에서 벗어나야 하는지 많은 부모들이 고민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유아들은 생후 4-6개월부터 정기적인 낮잠 패턴을 갖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는 보통 하루에 2-3번의 낮잠을 자게 됩니다.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이 낮잠의 횟수와 길이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됩니다. 대개 18개월에서 3세 사이의 어린이들은 하루에 한 번, 대략 1-3시간 정도 낮잠을 잡니다. 이러한 낮잠은 아이들이 밤에 충분히 잘 수 있도록 돕는 동시에 낮 시간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전시켜 줍니다. 아이가 언제 낮잠을 끊어야.. 2024. 2. 26. 다양한 피부병변 (4) 1. 멜라닌세포유래 모반과 신생물(Melanocytic nevi and tumors)[3] 멜라닌세포모반(Melanocytic nevus)임상적 피부관리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피부병변은 점(모반)입니다. 점이라는 것은 모반(nevus, 피부의 구성 성분이 비정상적으로 생성된 양성종약 혹은 과오종)을 의미하고,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것은 멜라닌세포모반(melanocytic nevus)입니다. 멜라닌세포모반은 멜라닌세포 계통에서 유래한 세포인 모반세포로 이루어진 양성종양을 총칭하는 이름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선천성, 후천성, 특수한 변형의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합니다. 모반세포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이론들로 설명하는 편입니다.표피 멜라닌세포의 변형과 진피내로의 이동표피 멜라닌세포와 신경슈반세포로부터.. 2024. 1. 16. 다양한 피부병변 (3) 아래 글들에 이어서 진피멜라닌세포병변(dermal melanocytic lesion)에 대한 글을 이어가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m/367 다양한 피부병변 (1)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각 피부병변의 특징을 숙지해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이것이 가장 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색소병변의 경drfrog.tistory.comhttps://drfrog.tistory.com/m/369 다양한 피부병변 (2)아래의 지난 글에 이어 피부병변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m/367 다양한 피부병변 (1)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각 피부병변의 특징을 숙지해서 정확하게 진단할 dr.. 2023. 12. 19. 다양한 피부병변 (2) 아래의 지난 글에 이어 피부병변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m/367 다양한 피부병변 (1)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각 피부병변의 특징을 숙지해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이것이 가장 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색소병변의 경drfrog.tistory.com 1. 멜라닌세포유래 모반과 신생물(melanocytic nevi and tumors)[1] 표피멜라닌세포병변 (epidermal melanocytic lesions) 4) 반문상모반, 얼룩흑색점모반(nevus spilus, speckled lentiginous nevus)a) 특징 반문상모반은 보통 털이 나지 않은 다양한 크기(1~20cm)의 연한 .. 2023. 12. 18. 다양한 피부병변 (1) 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각 피부병변의 특징을 숙지해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이것이 가장 적절한 치료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색소병변의 경우 그 뿌리가 진피에 있는 것인지, 표피에 있는 것인지 알지못한다면 어떤 레이저를 사용해야 할 것인지, 어떤 깊이의 필링을 해야할 것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1. 멜라닌세포유래 모반과 신생물(Melanocytic nevi and tumors)멜라닌세포(melanocyte)는 표피에서 기저층에 산재해 있는데, 멜라닌세포와 기저세포의 비율은 평균 1:10 정도 됩니다. 멜라닌세포의 가지돌기는 상당히 멀리까지 뻗어있어서 멜라닌세포 1개당 약 36개의 각질형성세포와 연관(표피멜라닌단위, epidermal melanin uni.. 2023. 12. 15. 피부 진단 : 육안적 진찰 (2) 아래의 지난 포스팅에 이어 육안적 진찰의 요소들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m/363 피부진단 : 육안적 진찰 (1) 정확한 피부진단을 위해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것은 육안적 진찰입니다. 시진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조명의 밝기가 충분한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상적인 조명은 주간의 광량과 일치 drfrog.tistory.com 3) 유분의 정도 피부의 번들거림, 피부 당김, 건조감 등은 피부타입에 따른 문제점들로 이러한 것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요소는 피부표면의 유분량(피지량)입니다. 하지만 피지분비의 감소가 피부건조의 유일한 이유는 아니고 피부의 수분량 또한 매우 중요합니다. 피부의 유분량과 수분량의 정도에 따라 피부타입을 분류하는 편인데, 유분.. 2023. 12. 11. 피부진단 : 육안적 진찰 (1) 정확한 피부진단을 위해서 가장 먼저 시행해야 하는 것은 육안적 진찰입니다. 시진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조명의 밝기가 충분한 공간에서 이루어져야 하고 이상적인 조명은 주간의 광량과 일치하는 수준의 밝기입니다. 1. 피부의 분류임상적 피부관리를 위한 육안적 진찰은 환자가 호소하는 개개의 피부병변에 대한 특징을 파악하기에 앞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분류해야 합니다. 따라서 피부색깔(color), 피부두께(thickness), 유분정도(oilness), 여린정도(fragility), 이완정도(laxity)로 피부를 분류하여 시술전후 처치에 대한 결정이나 시술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피부의 색깔(color)사람의 피부색에 관여하는 색소에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틴이.. 2023. 12. 8. 피부 진단 : 병력청취(2) 아래 링크된 지난 포스팅에 이어 병력청취에 대한 부분을 더 작성해보겠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m/361 피부 진단 : 서론, 병력청취 (1)1. 서론늙고 병든 피부를 젊고 건강한 피부로 되돌리고자 하는 소망은 임상적 피부관리를 통해 실현이 가능해졌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임상적 피부관리를 시행하기 앞서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drfrog.tistory.com 5) 경구 이소트레티노인 사용 여부비타민A 유도체인 이소트레티노인(isotretinoin)을 복용한 경우 피부가 얇아지기 때문에 특정 시술의 자극에 의해 피부 손상이 유발될 수 있고, 상처의 치유가 늦어지며 비대흉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이소트레티노인을 복용한 환자에서는 경구 투여가 완료된 후 약 12개월.. 2023. 12. 6. 피부 진단 : 서론, 병력청취 (1) 1. 서론늙고 병든 피부를 젊고 건강한 피부로 되돌리고자 하는 소망은 임상적 피부관리를 통해 실현이 가능해졌다고 보입니다. 하지만 임상적 피부관리를 시행하기 앞서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것은 고가의 의료장비가 아니라 정확한 진단 능력이라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피부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진단이 쉬울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는 우리 눈앞에 늘 노출되어 자세하게 관찰되는 장기이기 때문에 그 변화에 대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자세히 연구되고 묘사되어 있어서 그 진단이 생각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또한 동일한 질환도 양상이 대단히 다양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2. 병력청취피부질환이 아닌 그 어떠한 진료에서도 반드시 빠지지 않는 부분이 병력청취입니다. 환자의 연령, 건강상태, 임신.. 2023. 12. 4.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