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의학160 부위별 봉합사(실밥) 제거 시기 열상(laceration)이란 피부가 찢어져서 생긴 상처를 의미합니다. 열상 중 일부는 봉합이 필요하게 되는데, 봉합에 사용되는 실의 종류나 부위에 따라 봉합사를 제거하는 시기가 달라집니다. 먼저 봉합사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출처: https://jamaicahospital.org/newsletter/history-of-sutures/ 1. 봉합사의 종류봉합사는 크게 신체가 흡수가능한 흡수봉합사(absorbable suture)와 흡수가 불가능하여 제거해야 하는 비흡수봉합사(nonabsorbable suture)로 나뉩니다. 각각의 봉합사는 단일섬유(monofilament)와 여러 가닥의 다섬유(multifilament)로 또 분류할 수 있습니다만, 간단한 실의 소개만 하고 넘어가겠.. 2024. 3. 23. 영아 돌연사 증후군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영아란 생후 1개월 이후부터 만 1세 미만의 아이들을 의미하는데, 이 시기에 가장 주된 사망 원인이 되는 질환이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아 돌연사 증후군에 대해 다뤄보려 합니다. [목차] 1. 영아 돌연사 증후군이란? 2.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위험 요인 3.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예방1. 영아 돌연사 증후군이란?영아 돌연사 증후군은 건강하던 영아가 갑작스레 사망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당시 상황에 대한 검토, 부검 등의 노력에도 원인을 알 수 없는 갑작스러운 사망을 뜻합니다. 영아 돌연사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부검, 사망 당시의 상황에 대한 검토, 환아의 병력에 대한 검토가 모두 필요합니다. 2.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위험.. 2024. 3. 22. 영아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영아 하임리히법 (Infant Heimlich Maneuver) 영아(Infant)는 만 1세 미만의 아기들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아주 작은 아기들이라는 이야기인데, 이 아이들이 작은 물건이나 음식을 잘못 삼켜서 숨을 못 쉬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난 글에서는 소아 및 성인의 기도 이물 폐쇄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일명 하임리히법을 간략히 설명했습니다. https://drfrog.tistory.com/19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하임리히법성인에서 기도이물폐쇄의 원인은 대부분 음식물입니다. 음식을 먹다가 갑자기 호흡곤란과 괴로움을 호소하는데 양 손으로 목을 감싸 쥐면서 괴로워하는 모습(choking sign)이 특징적입니다. 식사 drfrog.tistory.com이번 글에서는 영아 하임리히법이라 불리는 응급처치법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1... 2024. 3. 21. 성인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하임리히법 (Heimlich Maneuver) 성인에서 기도이물폐쇄의 원인은 대부분 음식물입니다. 음식을 먹다가 갑자기 호흡곤란과 괴로움을 호소하는데 양 손으로 목을 감싸 쥐면서 괴로워하는 모습(choking sign)이 특징적입니다. 식사 등의 활동 중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도 폐쇄가 발생할 상황이 다른 사람에 의해 목격 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렇다면, 기도에 음식물이 걸려서 숨을 못 쉬고 있는 환자를 발견했을 때 어떤 처치를 할 수 있을까요? 1. 상태 확인 및 119 신고위에서 언급한 모습처럼 목을 감싸쥐며 괴로워하는 환자를 발견한다면 기도에 이물질이 들어갔고 숨을 제대로 못 쉬고 있는 상황이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주변에 누군가 있다면 당장 119에 신고할 것을 요청하시고 아무도 없다면 직접 119에 신고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2... 2024. 3. 20. 영아 심폐소생술 (CPR in infants) 영아는 만 1세 미만의 아기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소아와 영아의 가장 많은 심정지의 원인은 숨을 잘 쉬지 못해서입니다. 그래서 하임리히법에 대해 미리 알아두는 것 또한 중요합니다. (아래 영아 하임리히법 참고) https://drfrog.tistory.com/m/22 영아 기도 이물 폐쇄 응급처치, 영아 하임리히법 (Infant Heimlich Maneuver)영아(Infant)는 만 1세 미만의 아기들을 지칭하는 말입니다. 아주 작은 아기들이라는 이야기인데, 이 아이들이 작은 물건이나 음식을 잘못 삼켜서 숨을 못 쉬고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난 글drfrog.tistory.com 영아에게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다른 연령대의 심폐소생술과 거의 비슷한 절차를 시행하게 됩니다. 영아 심폐소생술의 대략.. 2024. 3. 19. 소아 심폐소생술 (CPR in children) 지난 성인 심폐소생술에 이어 이번엔 소아에서의 심폐소생술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인 심폐소생술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https://drfrog.tistory.com/23 성인 심폐소생술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심폐소생술이란, 심장 박동이 멈춘 환자의 자발적 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모든 과정들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입니다. 그 중에서도 알고만 있다면 응급 상황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drfrog.tistory.com 소아에서의 심폐소생술은 어떤 점이 다를까요? 우선 소아 심폐소생술은 사춘기 이전의 아이들에게 적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성인은 아니지만 사춘기를 지난 아이라면 성인 심폐소생술을 적용해주세요. 소아 심폐소생술의 대략적인 과정은 아래와 .. 2024. 3. 18. 성인 심폐소생술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이란, 심장 박동이 멈춘 환자의 자발적 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시행하는 모든 과정들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입니다. 그 중에서도 알고만 있다면 응급 상황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기본 심폐소생술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갑자기 쓰러진 사람에게 지나가던 시민이 흉부 압박을 하는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것이 기본 심폐소생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격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전에, 만약 당신이 심폐소생술에 대해 배우거나 교육을 접한 경험은 있지만 어떻게 해야할지 잘 기억나지 않거나 겁이나서 시행하기 힘들다면흉부압박 한 가지만 기억하고 시행하세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고 119 구급대원을 기다리는것보다 흉부압박만 하고 있는 편이 환자에게 훨씬 좋은 처치라는 의미입니다. 심폐소생.. 2024. 3. 17. 자동심장충격기 (자동제세동기, AED) 사용법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는 첫 단계에서 119에 신고할 것, 그리고 자동제세동기(AED)를 가져와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자동제세동기, 즉 자동심장충격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의 사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진출처: Google 자동제세동기의 대략적인 작동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원 켜기 → 패드 부착 → 심장리듬 분석 → 전기 충격 1. 전원 켜기자동제세동기는 여러 회사에서 출시된 제품이 있고, 근처에 어떤 제세동기가 준비되어 있을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어떤 제품이건 간단하고 명료하게, 사용자가 알아보기 쉽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보통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버튼을 누르는 순서를 번호로 표시해놓습니다.전원.. 2024. 3. 16. 소아의 배변훈련 (Toilet training) 변기를 사용할 줄 알게 된다는 것은 양육자에게도, 아이에게도 중요한 일입니다. 아이들에게는 자립을 향한 중요한 걸음이 될 것이고 양육자에겐 기저귀로부터 해방됨을 의미하게 됩니다. 물론 속옷과 옷을 더 신경써야 한다는 새로운 걱정거리가 생기겠지만요. 그렇다면 배변훈련은 언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목차] 1. 내 아이가 준비되었는가? 2. 양육자는 준비되었는가? 3. 배변훈련은 얼마나 오래 걸리는가? 4. 배변훈련의 단계 5. 배변훈련에 도움이 되는 팁 6.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다면 7. 배변훈련 중 발생하는 문제1. 내 아이가 준비되었는가?많은 전문가들이 동의한 배변훈련을 위한 전제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걸을 수 있다. - 변기에 앉을 수 있다. - 낮의 몇 시간 동안 소변을 보지 .. 2024. 3. 15. 소아 변비 (Constipation in children) 오늘 말씀드릴 주제는 어린 아이들의 변비입니다. 변비라고 하면 대변을 보기 힘든 상태를 쉽게 떠올리실거라 생각합니다. 어떤 상태를 변비라 부르는지,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에 대해 차례로 말씀드리겠습니다.[목차] 1. 정상적인 배변활동 가. 영아 나. 유아 다. 소아 2. 변비의 진단기준 3. 고려할 사항 가. 영아 나. 사회정신적 및 환경적 요인 4. 기능성 변비의 치료 가. 영아 나. 소아 1. 정상적인 배변활동가. 영아 (만 1세 미만)만삭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생후 36시간 이내에 첫 대변을 보게 됩니다. 아이를 키우고 계신 분들이라면 대부분의 신생아들이 태어난 지 하루만에 태변이라 부르는 대변을 봐야 한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수 있는데 같은 이야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후 1주일간은 하루에 평균 4회.. 2024. 3. 14. 급성 담낭염의 치료 (Treatment of acute cholecystitis) 이번 글에서는 급성 담낭염을 어떻게 치료하는지에 대해 말씀드리려 합니다.[목차] 1. 급성 담낭염의 초기 치료 2. 급성 담낭염의 수술적 치료 3. 급성 담낭염의 내과적 치료 및 중재술 4. 담낭 절제술 후의 문제점 1. 급성 담낭염의 초기 치료급성 담낭염이 진단된 초기에는 금식, 수액, 세균에 대한 항생제로 치료를 시작하게 됩니다. 담낭염에서 발견되는 균은 대부분 그람 양성균(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 Streptococcus faecalis)이므로 3세대 Cephalosporin이 일차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심한 중증 감염의 경우 혐기균(Bacteroides fragilis, Clostridium perfringens)이 혼합감염 될 수 있으므로 me.. 2024. 3. 13. 급성 담낭염 (Acute cholecystitis) 급성 담낭염은 담석(쓸개돌), 종양 혹은 담낭(쓸개)의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담낭관(쓸개길)이 좁아지면서 담낭에 염증이 발생한 질환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담낭과 담낭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그림 출처: https://kormedi.com/1280296/%EB%8B%B4%EC%84%9D%EC%A6%9D-%EC%9E%90%EC%84%B8%ED%9E%88/ 이번 글에서는 급성 담낭염에 대해 설명할 예정입니다.[목차] 1. 급성 결석성 담낭염 (Acute calculus cholecystitis) 2.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 (Acute non-calculus cholecystitis) 3. 담낭 축농 및 담낭 수종 (Gallbladder empyema and hydrops) 4. 담낭 괴저 및 천공 (.. 2024. 3. 13. 이전 1 ··· 3 4 5 6 7 8 9 ··· 14 다음 728x90